LUFS? LKFS? 라우드니스 미터링 ebu-r128

LUFS LKFS LU 라우드니스 미터링이란?

라우드니스 미터는 RMs 래밸을 다시금 라우드니스 커브에 맞게 K-filter 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새로운 라우드니스 측정 방식입니다.
기존의 VU 미터는 그냥 일반적인 사운드의 RMS 를 측정하지만
LU 미터는 더 진보하여, 인간의 귀의 청감각적 라우드니스 커브를 고려한 RMS 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Loudness unit 을 줄여서 Lu 라고하고, 0Lu 는 디지털 해드룸을 고려하여 -23Lufs 로 정해놓았다고 하네요
이것은 유럽 표준인 EBU-R128 유럽 브로드케스트 유니언에서 정해진 수치입니다.
그래서 라우드니스의 기준은 절대적 수치로는 -23 Lufs를 0Lu 로 정해서 사용하는게 Ebu-R128의 내용입니다.
한국은 -24Lufs 를 0Lu 로 정해서 하라고 방송 통신 위원회에서 권고 한다고 하네요.
당연히 기준이 여기에 따르면 0LU 입니다. 각 나라에서 정해놓은 수치대로 0LU(상대적수치) 가 몇Lufs(절대적수치) 인지 정해놓고
음악이나 방송을 제작할시에 0Lu 로 방송해라…하고 강요하거나 추천하는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악 마스터링은 훨씬 큰소리로 마스터링 되고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사실 LU 미터링이 적용된 라우드니스 미터를 보면, 우리가 제작한 사운드의 소리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쉽게 체크가 가능합니다.
특히 이 안에는 True peak 를 검출 할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마스터링시에 매우 유용하죠,
우리가 만들어낸 사운드가 얼마나 Flat 하고 크게 만들어져있는지 쉽게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foobar2000등의 플레이어에서 Vst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쓸수 있는것을 고려하여, VST 로 나와있는 라우드니스 미터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음악들의 마스터링 래밸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제가 만든것들두요, 그리고 서로 비교 가능하구요,

가장 중요한건 역시 LRA 가 되겠습니다,. 기존에는 PRA (peak ratio range ) 가 중요했지만
지금은 라우드니스 기준으로 Loudness range 가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마스터링을 피크 기준으로 하는게 아닌 트루 피크와 라우드니스 기준으로 하게 되면, 소리가 큰 정도를 쉽게 체크 할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피크기준으로만 체크하면, 피크는 꽉채웠지만 소리가 얼마나 큰지 알수가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하니까요,.
왜 내가 만든곡은 피크치는데, 소리가 다른 것보다 작은지 의문이면 라우드니스 미터를 체크 하면됩니다.

일반 기존 상업 재즈 음반들의 라우드니스는 8-10LU 사이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네요LRA(레인지) 는 4-8LRA정도
저도 그부분에 맞춰서 믹스/마스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스터링시 과도한 리미팅과, 컴프레서 사용은 라우드니스레인지가 줄어들게 되는결과가 되어 쉽게 라우드니스를 10LU 까지 끌어올릴경우, 라우드니스레인지는 폭이 좁아지게 되겠죠.
반대로 라우드니스레인지를 넓힐려고, 리미팅과 컴프레서를 좀 들사용하면 라우드니스 자체를 올리기가 힘들겁니다.
이 부분이 사실 일반인들은 하기 힘든 부분이겠지요. ^^
p.s 아참 모바일용음원의 경우 -16Lufs 의 라우드니스를 가지는게 표준안이라고 하더군요 유럽연합에서는 ^^…
이경우 -23Lufs 가 0Lu 이므로 -16Lufs 는 7Lu 입니다.
다시말해서, 위에 말씀드린 상업 재즈 음반의 라우드니스가 8LU 인것은 사실 , 어느정도 표준에 가깝다고 볼수 있겠군요

-추가글

LUFS LKFS LU 라우드니스 미터링이란?

라우드니스 미터는 RMs 래밸을 다시금 라우드니스 커브에 맞게 K-filter 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새로운 라우드니스 측정 방식입니다.
기존의 VU 미터는 그냥 일반적인 사운드의 RMS 를 측정하지만
LU 미터는 더 진보하여, 인간의 귀의 청감각적 라우드니스 커브를 고려한 RMS 를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Loudness unit 을 줄여서 Lu 라고하고, 0Lu 는 디지털 해드룸을 고려하여 -23Lufs 로 정해놓았다고 하네요
이것은 유럽 표준인 EBU-R128 유럽 브로드케스트 유니언에서 정해진 수치입니다.
그래서 라우드니스의 기준은 절대적 수치로는 -23 Lufs를 0Lu 로 정해서 사용하는게 Ebu-R128의 내용입니다.
한국은 -24Lufs 를 0Lu 로 정해서 하라고 방송 통신 위원회에서 권고 한다고 하네요.
당연히 기준이 여기에 따르면 0LU 입니다. 각 나라에서 정해놓은 수치대로 0LU(상대적수치) 가 몇Lufs(절대적수치) 인지 정해놓고
음악이나 방송을 제작할시에 0Lu 로 방송해라…하고 강요하거나 추천하는것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음악 마스터링은 훨씬 큰소리로 마스터링 되고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사실 LU 미터링이 적용된 라우드니스 미터를 보면, 우리가 제작한 사운드의 소리크기가 얼마나 되는지 쉽게 체크가 가능합니다.
특히 이 안에는 True peak 를 검출 할수 있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어 마스터링시에 매우 유용하죠,
우리가 만들어낸 사운드가 얼마나 Flat 하고 크게 만들어져있는지 쉽게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foobar2000등의 플레이어에서 Vst 플러그인을 설치하여 쓸수 있는것을 고려하여, VST 로 나와있는 라우드니스 미터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음악들의 마스터링 래밸을 체크할 수 있습니다.
물론 제가 만든것들두요, 그리고 서로 비교 가능하구요,

가장 중요한건 역시 LRA 가 되겠습니다,. 기존에는 PRA (peak ratio range ) 가 중요했지만
지금은 라우드니스 기준으로 Loudness range 가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마스터링을 피크 기준으로 하는게 아닌 트루 피크와 라우드니스 기준으로 하게 되면, 소리가 큰 정도를 쉽게 체크 할수 있게 되는것이지요. 피크기준으로만 체크하면, 피크는 꽉채웠지만 소리가 얼마나 큰지 알수가 없는 상황이 되기도 하니까요,.
왜 내가 만든곡은 피크치는데, 소리가 다른 것보다 작은지 의문이면 라우드니스 미터를 체크 하면됩니다.

일반 기존 상업 재즈 음반들의 라우드니스는 8-10LU 사이를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것 같네요LRA(레인지) 는 4-8LRA정도
저도 그부분에 맞춰서 믹스/마스터링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마스터링시 과도한 리미팅과, 컴프레서 사용은 라우드니스레인지가 줄어들게 되는결과가 되어 쉽게 라우드니스를 10LU 까지 끌어올릴경우, 라우드니스레인지는 폭이 좁아지게 되겠죠.
반대로 라우드니스레인지를 넓힐려고, 리미팅과 컴프레서를 좀 들사용하면 라우드니스 자체를 올리기가 힘들겁니다.
이 부분이 사실 일반인들은 하기 힘든 부분이겠지요. ^^
p.s 아참 모바일용음원의 경우 -16Lufs 의 라우드니스를 가지는게 표준안이라고 하더군요 유럽연합에서는 ^^…
이경우 -23Lufs 가 0Lu 이므로 -16Lufs 는 7Lu 입니다.
다시말해서, 위에 말씀드린 상업 재즈 음반의 라우드니스가 8LU 인것은 사실 , 어느정도 표준에 가깝다고 볼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