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의 배음 분석 #2

몇 해전에 아래의 글에서

http://jazzbass.tistory.com/305

콘트라베이스의 배음을 측정해보고 분석해보았습니다.

하지만 그때 당시, 좋은 기자재의 부족으로, 피에조 픽업 사운드를 받아서 그대로 측정해보았는데

다시 한번 측정해보았습니다.

다시 실험 해본 결과 몇가지 결과에 대한 이야기를 수정해야 해서 다시 포스팅해야 될것 같습니다.

그때 당시의 측정은, 마이크를 통해서가 아닌, 브릿지에서 설치되어있는 “피에조 픽업” 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이크와 픽업의 음을 받아들이는 구조가 완벽히 상세하게 다른것 같습니다.

일단 이번에 측정 사용장비는 DPA4099 mic 입니다. 마이크입니다.

00:00/00:12
  1. mic.mp3

A 현을 퉁겼을떄의 스팩트럼측정결과와, 그 사운드 샘플입니다.

배음 분석을 하자면 1차배음이 A, 2차 = A , 3차= E 4차= A 5차= C#, 6차 = E , 7차 = G 순서입니다.

몇번의 실험을 통해서 배음구조가 , 짞수 배음들이 홀수 배음들보다 음이 강하게 나고 있습니다.

제가 링크한 전 실험에서는 홀수배음이 강하게 측정되었던걸로 결과가 나왔었는데 완전히 뒤집어지는 결과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래서 전 실험결과의 잘못된 요인을 찾아보았더니, 전 실험은 “피에조픽업” 을 통한 배음 측정 분석이었고,

피에조 픽업은 피에조 픽업 자체가 가진, 결함 ?한계에 의해서, 소리를 왜곡되게 받아들이는것 같다 라는 결론을 내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피에조 픽업에 의한 배음측정 결과인데 역시, 홀수배음이 강조되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00:00/00:06
  1. piezo.mp3

그래프에서 보면 C# , G 등의 홀수차 배음들이 강조되어 보입니다.

이것은 “피에조 픽업” 의 특성으로 악기 고유의 특성이 아니므로, 전에 했던 실험의 결과는, 콘트라베이스의 소리 특성이 아닌 “피에조 픽업”의 수음특성으로 봐야 할것같네요

요약 결론 하겠습니다.

1. 일렉트릭 베이스는 기음보다 2배음이 더 크다. 그래서 1옥타브 높은 음으로 들린다.

2. 더블베이스는 일렉트릭베이스보다 더 낮은 저음으로 들리는 이유가 기음이 2배음보다 크기 때문에 원래 음정으로 들리는 것이다.

3. 두 악기는 모두 서브 하모닉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현의 진동에 의한 바디나, 울림통의 공진에 의한것으로 보인다.

4. 일렉트릭베이스는 배음열의 모든 배음이 평탄하게 울리는데에 비해, 더블베이스는 짝수 배음성분이 홀수 배음성분보다 많다.

5. 피에조 픽업은, 일반적인 악기 소리를 왜곡되게 받아들여 홀수차 배음을 강조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