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kie VLZ 802 믹서를 통한 “More me” Cue 모니터 활용방법

Mackie VLZ 802 소형 믹서를 활용하면, 녹음하는 부스 내부의 More me Cue 모니터링 시스탬을 구축하기 쉽습니다.

일단 소형 믹서를 사용하게 되면, 녹음시에 모니터링 소스를 믹서의 stereo LINE 입력으로 받아서, 볼륨을 조절해서 믹서의 헤드폰아웃을 통해 모니터링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소형 믹서를 헤드폰 앰프 대용으로 쓰게 되는것입니다.

근데 헤드폰 앰프와 믹서의 차이점은 믹서는 여러가지 소스를 각기 조절하면서 그것을 모니터링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떄문에, 녹음시에 모니터링 소스를 1개통의 mix 만 보내는것에서, 좀더 진보해서, 1개통의 mix 와, 1개통의 해당 모니터를 사용하는 연주자(보컬) 의 자신의 모니터링 소스 의 2개로 나눠 보내주는 것입니다.

다시말해서 내 자신의 소리 “me ” 와 다른 소리(또는 MR) “CUE” 의 2개 통으로 믹서로 넣어 주면, 믹서에서 fader 나 knob 으로 그 소리의 크기를 직접 조절해서 모니터링 할수 있는 방법입니다.

예를들면 보컬을 녹음할때에, 보컬의 녹음되는 소리를 1번 채널로 넣어주고, 나머지 악기소리 또는  MR 을 2번 채널로 보컬이 사용하는 믹서(헤드폰앰프) 로 넣어주면, 녹음하는 보컬이 스스로 , 1번 채널의 소리를 높힘으로써, 자신의 소리를 더 크게 듣거나, 2번 채널을 줄임으로써 MR 을 줄이거나 하는 것을 녹음하며 모니터링하는 연주자 본인이 셀프로 할 수 있게 됩니다.

보컬 녹음 으로 예시를 들겠습니다.

사용하는 녹음 콘솔의 보컬 녹음 채널의 다이렉트 아웃을 CUE 헤드폰 앰프로 사용할 802 VLZ 의 모노채널의 LINE input(ex 1채널 또는 2 채널) 으로 연결합니다.

(아래쪽의 1line 1 부분이 제가 사용하는 콘솔의 해당채널의 direct out routing 입니다. 이 콘솔의 line1 을 아날로그 케이블로 802 vlz 의 2번 체널 line input 으로 연결합니다.)

사용하는 녹음 콘솔의 보컬로 보내주는 스테레오 aux send mix 를 802 VLZ 의 스테레오 채널 에 입력합니다. (ex 5/6 또는 7/8 채널) 이때의 aux send mix 는 해당 보컬만 빠진 믹스를 보내줘도 됩니다. 이것을 방송쪽에서는 믹스-마이너스 라고 한다고 하네요.

이렇게 하면 보컬이 녹음할때의 direct out 으로 802 vlz 의 모노 채널에 입력이 들어가고, 나머지 모니터링을 담당하는 부분인 aux send out 은 스테레오 채널로 들어오기 때문에, 802 vlz 의 헤드폰 아웃을 통해서 모니터링을 하는 보컬 연주자에게 자신의 목소리와 나머지 소리를 802vlz 를 통해서 조절할수 있게 됩니다.

(aux send out 이 스테레오, 그리고 해당 레코딩 콘솔이 다중 direct out 을 지원한다는 가정하에 쓴글입니다. 왜냐면 direct out 을 통해서 녹음기(DAW) 로도 보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디지털 콘솔의 상황이면 대부분 될것이라 생각됩니다.)

(해당 디지털 콘솔의 다중 direct out 이 가능한 상황)

다만..만약 사용하는 콘솔이 다중 direct out 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aux send mix 를 2개통으로 만들어서 보내면 됩니다.aux 1 으로는 보컬의 소리만 보내고 aux 2 로는 나머지 믹스를 보내서 , 802 vlz 에서 aux1 과 aux2 를 각기 다른 채널로 받아서 사용하면 됩니다.)

또한 굳이 802VLZ 를 쓰지 않아도 무방합니다…

모노 채널과, 스테레오 채널을 지원하는 작은 소형 믹서면 충분합니다.굳이 802 VLZ 를 예시로 든것은 제가 쓰기 때문입니다.-_-; ㅋ

다만 802 VLZ 를 사용하게 되면 또다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요, 그것은 802VLZ 의 채널 에 ALT3-4 라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ALT3-4버튼 을 누르게 되면, 해당 채널의 소리가 MAIN out 이나 헤드폰 아웃으로 나가지 않고 ALT OUT 으로 나가게 됩니다.

ALT34 에 대해서는 다음 동영상을 참고 하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1번 채널에는 보컬의 마이크를 연결하고, ALT34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보컬의 소리는 ALT34 아웃을 통해서 나가게 됩니다. (Mackie 의 Preamp 를 사용하게 되겠네요)

이 ALT 34 를 녹음 콘솔의 VOCAL 채널 입력으로 받습니다. 하지만 이미 프리앰프를 거친 소리 이므로 LINE input 으로 받으면됩니다.

녹음 콘솔의 vocal 채널의 direct 아웃은 다시 802VLZ 의 2번 채널의 line input 으로 연결합니다. 이 채널은 alt34 버튼이 안눌려있습니다.

802VLZ 의 control room 매트릭스는 alt34 는 누르지말고 main 만 눌러서 main 아웃 만 듣도록합니다. 컨트롤룸 아웃이 헤드폰 아웃과 같은 소리가 나는곳입니다.만약 컨트롤룸 아웃에 alt34 버튼도 눌려있어서 컨트롤룸에서 alt34 소리가 들리게 되면, 아마 피드백이 날것으로 예상됩니다..)

녹음 콘솔의 vocal 을 위한 aux send mix 아웃은 다시 803VLZ 의 스테레오 5/6 채널의 line input 으로 연결합니다. 이채널도 alt34 버튼은 안눌려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802VLZ 의 1번 채널 프리앰프를 통해서 보컬을 녹음하고, 녹음되는 소리는 2번 과 5/6 번을 통해서 me 와 cue 를 볼륨을 조절하면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됩니다.

조금더 응용해보면 사실 2번과 5/6 번을 통해서 me 와 cue 를 모니터링 하지 않고 , 1번과 5/6 번만 사용하고 컨트롤룸 매트릭스에서 alt34 , main 둘다 셀렉트 해서 사용해도됩니다.

구성하기에 따라서 다양한 응용이 되기 때문에, 꼭 무엇이 정답이라 할수는 없습니다. 사실은 요즘같은 시대에는 모니터 cue 믹서가 디지털화 되어 나오는 제품이 많이 있기 때문에 굳이 80zVLZ 와 4채널 짜리 굵은 멀티케이블을 이용해서 이걸 구성해야 하나? 하는 생각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것은 응용일뿐이지, 최선책은 아닙니다.

우선은 쉽게, Me 와 Cue 를 조절할수 있게 녹음 채널의 direct out 과 aux send mix 를 조그만 소형믹서에 보내서 헤드폰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해보는것 부터 시도해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