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정(Interval) 은 어떤 음과 다른음과의 음의 높낮이의 정도를 말한다. 어떤 한음이 순수하게 울리고 있을 때는 아무런 분위기도 느낌도 뉘앙스도 표현하기 힘들다. 물론 그 한음을 울리면서, 비브라토와 같은것을 표현한다면, 분위기나 느낌을 표현하겠지만, 주법상의 태크닉만으로는 그것보다 더 많은것을 표현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높낮이가 차이 나는 2개의 음이 동시에 올리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연주된다던지 하면, 그 2가지의 음은 어떠한 분위기나 뉘앙스를 표현해 낼 수 있다.

음이 동시에 울리는 첫번째의 경우는 화음(Harmony) 라고 하고, 순차적으로 연주되는 경우는 선율(Melody)라고 한다.
대부분, 화음과 선율은 구분하여 따로 판단하지만, 베이스 연주에 있어서, 또는 기타 다른 멜로디 악기연주에 있어서는, 화음과 선율은 밀접한 관계가 있기에, 더 화음에 대해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이러한 음정간의 관계에 따라서 음의 화음이나, 멜로디의 분위기가 틀려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음정을 부르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연주자들끼리 서로 소통하는데에 문제가 없기 때문에 음정을 부르는 법을 알아보자.
한 옥타브 Octave

이것은 한옥타브라고 한다. 음정상으로는 8도의 관계가 있다.(eighth)
주파수로는 정확하게 2배의 진동수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같은 음이다.
1도
1도는 자기자신을 말한다. 화성이나 스케일상에서 1도는 Root를 말한다.
2도

어떠한 기준음이 C 라고 할때, C 에 대하여 D는 장2도라고 한다. 영어로는 second.
중요한것은 D가 (C 에 대하여) 장2도 라는것이지, C 가 (D 에 대하여) 장2도는 아니다.
이것은 많은 사람들이 실수하는것이다. D 는 C 의 장2도 이다.
Db 은 D 보다 반음 낮은음을 말한다 영어로 D flat , 디 플랫 이라고 읽으면된다. 어렷을때 본 기억으로는, 내림라 라고 부른것 같았다 참 부르기 불편하다고 생각하는데….한글의 고유 명칭으로는 A B C D E F G 가 가 나 다 라 마 바 사 로 부른다.
반대로 C 보다 반음 높은 음은 C# 이라고 한다. 영어로 C Sharp, 씨 샵 이라고 읽는다. 이것은 올림다 라고 한다.
C 와 D 사이에 서 반음은 하나인데, C 보다 반음높은 C#과 D보다 반음 낮은 Db 은 같은음이다.
따라서 C#과 Db 은 이명동음(딴이름 한소리) 라고 부른다. 같은음이다.어느때에 Db 으로 부르고, 어느때에 C#이라고 부를지는 Tonic 이 어떤음인지 알려주는 조표(key signature) 에 의해서 결정된다. 예를들면 조표의 구성상에 D 선에 b조표가 있을 때는 Db , C선에 #조표가 있을 때는, C# 이라고 불러야 한다.
3도

E 는 C 에 대해서 장3도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Third. Eb 은 단 3도이다.
4도

4도는 완전 4도라고 부른다. 영어로는 Fourth .
5도

5도의 경우는 3단계가 존재한다. 2도나 3도의 경우는 장,단 의 2단계의 음정이 있었지만, 5도의 경우는 3단계로 부르기 때문에, 증, 완전, 감으로 부르게 된다. 4도의 경우도 증4도라고 부르기도 하는것을 보았지만, 대체적으로 감5도라고 한다. 4도와 5도는 “완전”,”증”,”감” 이라는 말을 쓰는것을 유의해야 한다.
G 는 C 의 완전 5도 이다.영어로는 Fifth. G# 은 C 의 증5도 이다.영어로는 #5th, Sharp fifth.
Gb 은 C 의 감5도 이다. 영어로는 b5th, Flat fifth 라고 한다.
중간에 하나 짚어가자면, #은 sharp, b 은 flat 이라고 하는데, 뜻이 각각 날카롭게, 뭉툭하게 라는 뜻이다. 음이 높아질수론 날카로와지고(Sharpening) , 음이 낮아질수록 뭉툭해진다(Flattening) 라고 생각해서 붙은 이름이다.
6도

A 는 C 의 장 6도 이다. 영어로는 sixth. Ab 은 C 의 단6도 이다. 영어로는 b6th,flat sixth
7도

B 는 C 의 장7도 이다. 영어로는 seventh , Bb 은 C 의 단7도 이다. 영어로는 b7th,flat seventh
화성적으로 화음이 울릴때에 ,한 옥타브 음정은 같은 음이기 때문에, 그 음정을 더욱 두텁게 만들어준다.이와 마찮가지로 완전 5도 같은 경우도, 배음의 성질이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음이 두터워진다. 3도와 7도의 경우는 화음의 색체를 주게 된다.
증이나 장 화음이 같이 울리는 경우보다, 감이나 단 화음이 같이 울릴때가 더 분위기가 다운된다.
다시말해 장화음이 같이 울리고 있을때는 단 화음이 같이 울릴때보다 더 안정적이고, 밝은 느낌을 주게 되고, 단화음이 울리고 있을때는 장화음이 울릴때보다 더 슬프고, 우울한 느낌을 주게 된다.
감화음이 울릴때는, 불안하고 수상한 느낌이 나게 되고, 증화음이 울릴때는 신비스럽고, 환각적인 느낌을 주로 주게 된다.하지만 역시 불안정적이다. 완전화음이 울릴때가 가장 안정적인 울림을 들려주게 된다.
이것은 음이 울리는 배음구조 때문에 생겨나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