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니터링 헤드폰
보컬 , 악기 녹음시, MR 이나, 헤드폰으로 들리는 다른 악기 소리가 마이크로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가 되도록 제작된 헤드폰(보통 closed 헤드폰)
레퍼런스 헤드폰
음악을 재생할때 최대한 평탄한 주파수로 재생하고, 원래의 소리를 최대한 왜곡 없이 원음으로 들려주도록 제작된 헤드폰(보통 open 헤드폰)
모니터링 헤드폰 경우 차폐율이 중요하고, 작은 헤드폰 출력에도 큰 소리를 내어주는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헤드폰 임피던스를 작게 만드는편이다. 반면에 레퍼런스 헤드폰의 경우, 최대한 원음 재생을 하는것에 포인트가 맞춰져 있기때문에, 다소 헤드폰의 임피던스가 높을 수 있고, 따라서 고 임피던스 헤드폰 구동을 해줄 수 있는 헤드폰 앰프가 필요할 수 있다.
모니터링 헤드폰의 경우에는 헤드폰에서 들리는 소리가 마이크로 들어가면 안되기 떄문에 Closed 로 만들지만 Closed 의 경우 내부에서 공간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소리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변화나 왜곡이 생성 되기 때문에, 레퍼런스 헤드폰의 경우에는 Closed 로 제작하지 않고 Open 형 헤드폰으로 주로 만들어진다.
믹싱/마스터링용 헤드폰?
때로, “모니터링” 이라는 말 때문에,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와 혼동되어, 믹싱이나 마스터링을 할때 사용하는 헤드폰을 모니터링 헤드폰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 이것은 모니터링 헤드폰의 사용 목적과는 사실 크게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음원의 믹싱/ 마스터링을 위해서는 “레퍼런스 헤드폰” 을 사용하는것이 더 유리하다. (원음에 가깝기 때문)
모니터링 헤드폰은 사실 공연장 등에서 사용하는 “스테이지 모니터링 스피커”에서 말하는 “모니터링’ 의 목적에 더욱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