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저가형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은 다이렉트 모니터링을 버튼식이나 노브식으로, 아날로그의 방식으로 해주게 됩니다.
이런 오디오인터페이스들의 경우에는 다이렉트 모니터링을 DSP 로 하지 않고 그냥 순수한 아날로그 루팅으로 하다보니, DSP 칩이 아예 없어서, DSP FX 도 당연히 없습니다. DSP 칩이 있는 경우는 DSP mixer 로 다이렉트 모니터링 뿐만 아니라 추가로 리버브 같은 DSP FX 가 있어서 녹음하면서 모니터링시 리버브 효과도 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솔직히 노래를 녹음하거나 할떄 모니터링 되는 자기 소리에 리버브가 촉촉히 묻어있으면 더욱 감성을 터치 하여 노래가 더 잘되는 부분도 무시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녹음시에 이렉트 모니터링을 포기하고 그냥 소프트웨어 모니터링을 통해서 레이턴시가 있더라도, 리버브를 플러그인으로 걸고 모니터링을 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 제로레이턴시로 모니터링이 안된다는 단점이 크게 있습니다.
하지만 아날로그식 다이렉트 모니터링(버튼식,노브식) 이라 DSP FX 가 없는 경우에 이것을 전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큐베이스를 예시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우선 아래와 같이 오디오트랙을 하나 만듭니다.

이렇게 만든 트랙은 보컬 녹음을 하기 위해서 UR12 오디오 인터페이스(버튼식, DSP FX 없음) 의 1번 인풋을 입력으로 설정합니다.
그 다음 FX send 채널을 만듭니다.


해당 Fx 트랙에는 리버브 vst 이팩터를 걸어줍니다.

다이렉트 모니터링을 사용할것이기 때문에 보통은 녹음할 트랙의 input monitor 버튼을 켜지 않고 다이렉트 모니터링 버튼을 눌러서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하게 되는데요,
여기서는 일부러 해당 트랙의 출력을 No BUS 로 설정하고 Input monitor 버튼을 눌러서 사용합니다.

다시말해서 녹음하는 소리의 원래 소리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다이렉트 모니터링 기능을 이용해서 제로레이턴시로 모니터링하고, 리버브 이팩터만 내부에서 SEND FX 를 이용해서 걸어서 잔향만 소리가 나오도록 하게 됩니다.
이렇게 사용하면, DSP FX 가 없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로도 얼마든지 리버브가 걸린소리로 모니터링하면서 녹음이 가능합니다.
포커스라이트사의 제품들중에는 DSP Mixer 는 있지만, DSP FX 는 없는 경우가 있고 (클라렛, 레드넷 등) 또한 RME 제품중에서도 Total mix FX 가 아닌 일반 Total mix 의 경우에는 리버브가 DSP Mixer 에서 빠져있기도 합니다. 이런 오디오 인터페이스들에서도 이것을 응용하면, CUE 모니터 등에도 이렇게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