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업과 임피던스 .

험버커 픽업, 싱글 픽업이 2개 있는 것이기 때문에, 그것도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에, 자력2배, 코일도 2배 감긴것과 마찮가지 이것은 저항의 증가를 가져오고,(전기가 잘 움직이지 못하게 자석이 강함) 코일도 많이 감겨있기 때문에, 전기가 잘 못움직임. 그래서 임피던스가 높은 픽업이되고,

고음이 손상이 오고 , (전류 손실), 공진주파수가 기음의 옥타브 보다 낮은쪽에 위치하게 되어(5도). 음이 두텁고 지저분한 음으로 된다.

다시말해서 싱글픽업은 자석도 1개고, 전류가 코일내에서 유연하게 잘 움직이고, 임피던스도 낮아서, 고음이 살고, 공진 주파수도, 기음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부분이 있어서, 짝수 배음을 형성하지만,

험버커 픽업은 공진 주파수가 기음의 3배음에 해당되는 홀수 배음인대다가, 임피던스가 높아서(자력이 강해지고 코일수가 많아서) 고음이 죽어버림.

이게 근본적인 픽업의 톤의 차이.

하지만 싱글 픽업은 험파장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교류전선의 60hz) 험 잡음이 나고,

험버커 픽업은 소리는 + – 로 나되, 험이 각기 똑같이 존재하지만,

한쪽 픽업을 반대로 합치면 험이 각기 반대방향이 되어 험 캔슬이 되는

험 캔슬링 현상이 일어남.

그래서 험버커 픽업이나 험캔슬링 픽업은 사실상, 직렬 병렬의 차이만 존재할뿐 같은 임피던스 같은 코일감기 수 이기에 같은거라고 볼수 있음.

그게 바로 프레시젼 베이스의 P 픽업.

아니면 재즈 베이스 의 JJ 구조.

그래서 프래시젼 베이스는 홀수 배음이 많은 사운드가 나고

재즈 베이스는 그래도 병렬로 연결하고 그래서 짝수 배음이 많은 사운드

하지만 이 험버킹의 방식외에도, 험 잡음을 원천 차단하는 방법이

바로 실드 + 로우 임피던스 픽업

픽업을 완전히 실드를 함. 바톨리니 픽업나 EMG 픽업처럼 , 아예 험이 유입 안되게,

그리고 그만큼 줄의 자성도 약하기에, 로우 임피던스 픽업을 만들어야함.

코일도 들감고, 자력도 적게줌, EMG 는 그래서 자력을 액티브로 컨트롤함.

일반 자석보다 자력이 약한 자석을 만들려면 전자석 밖에 답이 없음

바톨리니는 코일을 들감는방식, 로우임피던스 , 그리고 실드를 철저히함

포데라에쓰이는 소프바 던컨픽업류도, 폴피스 외에는 철저히 실드함

EMG 는 자력을 아예 액티브 전자석으로 컨트롤. 약한 자력을 임의 생성

그래서 험잡음의 유입이 없는 싱글 픽업을 만들어냄.

그래서 짝수 배음이 발생하고, 고음역대가 시원한 소리가 나게됨.

잡음 유입도 없음.

하지만. 이런 픽업만으로는 소리가 매우 작음.왜냐. 자력도 약하고, 코일도 들감아서 전압이 약하게 생성됨.

그러면 이걸 이제 증폭해야함. 그래서 프리앰프가 들어가게됨.

매우 미세한 전력증폭을 위해서 DC 9V 전압을 쓰는 Class-A  또는 Class-AB 프리앰프를 내장, 하지만 미세한 전력증폭에는 Class-A 로 하더라도 전력을 들먹기에 매우 뛰어난 프리앰프를 내장할 수 있음.

이게 내가 베이스 톤잡을떄 내장 프리앰프를 선호하는 이유임.

만약 이정도 음질의 프리앰프를 외장형으로 만들면 매우 고가의 베이스 앰프여야 합니다.

임피던스와 소리의 성질에 대한 그래프.

임피던스가 높을수록 저렇게 고역대에 공진이 생겨서 “앵앵”거리는 음질로 가게됨.

신호는 로우임피던스로 보내고 . 하이임피던스로 받아야….원래의 신호를…제대로 낼 수 있습니다.

몇몇 장비들의 입 출력 임피던스 자료.

출력 임피던스

rnp 8380 마이크 인풋 5000ohm  라인 인풋 1Mohm = 1000Kohm

픽업 – 싱글픽업 20Kohm, 험버커 픽업 40Kohm

픽업 – EMg pickup – 10Kohm

바톨리니 픽업 -10Kohm 으로 추정됨.(바톨리니 서킷들이 10kohm 출력입니다.)

sm57 마이크 150(300)ohm

realist 피에조 픽업 임피던스 = 10Mohm = 10000Kohm

인풋 임피던스 –

markbass 베이스 앰프 – 모델별로 2종류.  500Kohm  1Mohm

GK 베이스 앰프 =1M ohm = 1000Kohm

ampeg 베이스 앰프 – 500kohm (PF 헤드의 경우)

ashdown 베이스 앰프(high 임피던스 인풋) – 3.9Mohm = 3900Kohm , 로우 임피던스 인풋 = 10Kohm

ashdown 콤보 베이스 앰프 = 1Mohm

야마하 스테이지파스 라인 인풋 6000ohm =6kohm

TC Rh450 = IMohm

Aguilar amp = 1Mohm

Acoustic image amp = high input = 10Mohm, low input = 1Mohm

mackie mixer = mic인풋 1.3Kohm, 라인 인풋 10Kohm

http://www.mofi.co.kr/board/brd_mofi_view_n10.asp?table=brd_10251&pid=30142&f_lid=200199&lid=100&level=0&brdcat=030&ishtml=c&p_f_lid=200442&p_lid=100

임피던스에 관한 좋은글.

출처: http://jazzbass.tistory.com/524 [정승환의 Jazzbas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