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기의 줄높이 조정

악기의 넥과 브릿지를 통해서 줄 높이를 조정해야하는 경우

국내 인터넷 커뮤니티들 중심으로 잘못된 정보가 널리 퍼져있는걸로 보인다.

“넥의 트러스로드는 함부로 건드는게 아니다.” 라는 잘못된 정보

줄높이를 조정하기 위해서 넥은 함부로 건드는게 아니니까 브릿지 새들을 높이거나 낮추라는 잘못된 정보가 몇십년동안 국내 커뮤니티 중심으로 퍼져있다.

줄높이를 조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기타나 베이스의 첫프렛과 마지막 프렛을 눌러서 스트링과 넥을 붙이면 넥의 릴리프 정도를 알수 있다 줄과 평행하거나 약간은 릴리프가 있는 넥의 정도를 맞추기 위해서 트러스로드를 사용해서 맞춘다.

2. 그 상태에서 이제 브릿지 새들을 조정하여 실제 연주시 편한 줄 높이를 만들고 동시에 새들을 앞뒤로 조정하여 피치와 인토네이션을 잡는다.

3 이렇게 하면 스트링의 장력이 재조정 되므로 넥의 릴리프를 다시 봐야한다 1번으로 반복 .

4 다시 조정된 넥의 릴리프를 가지고 다시 새들의 인토네이션과 피치를 본다

5 이렇게 반복해서 맞춘 상태가 보통 세팅이 완성된거고 악기의 공장 출하 default 셋팅도 이렇게 맞추는걸로 알고 있다. 또한 숙련자일수록 금방 끝나며 악기가 넥이 튼튼한 악기 일수록 금방 끝난다

특히 바디와 낵을 분리해야 넥의 릴리프 조절이 가능한 펜더올드 기타들의 경우 넥의 릴리프 제조정이 필요 없을 정도로 넥이 튼튼해서 한번에 끝나는 경우가 많다 ( 바디와 넥을 분리해야해서 일반적으로 보기엔 조정이 힘들것 같지만 사실 넥이 튼튼하기 때문에 더 쉽다.한번에 끝나기 때문)

이제 그 다음이 제일 중요한데 이제 이후에 악기를 가지고 사용하다가 온도나 날씨 습도에 의해 줄 높이가 변경되면 당신은 무엇을 만질 것인가?

브릿지새들 높이? 넥의 릴리프?

.

.

.

.

.
멍청하게도 많은 인터넷 커뮤니티들이 새들높이를 조정하라고 한다는거다

절대 브릿지 새들 높이는 날씨나 온도에 의해 변한적이 없는데도 말이다.

브릿지는 함부로 건드는게 아니다 피치와 인토네이션이 다 날라간다

Lakland 55-94 관련 동영상.

연주자가 차례대로 Fender Jazz, Fender presicion, 그리고 Musicman stingray 와 의 소리를 시뮬레이션 합니.
라크랜드 VS Jazzbass + P-bass + Musicman stingray

(라크랜드 Lh-3 픽업으로 3가지 베이스소리와 비교를 하네요 하하..재밌는 …다들

아시다 시피 라크랜드는 픽업 스위치로 위의 3가지 베이스를 모두 시뮬레이션 가능합니다.)

 

프론트 픽업은 더블 코일로써 프론트 픽업만 사용하면 프레시젼. 개다가 더블 코일이라 잡음이 없습니다

리어픽업은 스위치로, 앞쪽 싱글, 험버커, 뒤쪽 싱글로 작동하고, 기본적으로 싱글로 동작한다쳐도,

다른쪽 싱글 픽업에 있는 자석이 소리나는 싱글쪽의 험을 상쇄 해주는 역할을 해서 잡음이 없습니다.

 

따라서 J+J(3.5″ 4.0″ 둘다 가능) 를 구성하면 휀더재즈

프론트의 P 만 사용하면 프레시젼

리어의 험버커를 사용하면 스팅레이

가 되는데 그것을 보여주는 동영상입니다
귀로만 듣고서는 거의 구분이 불가능한…

 

악기 제작용 나무를 자르는 방법 : 쿼터쏜 과 플랫쏜

플랫쏜은 그냥 보통 나무를 수평으로 자르는 방식이고

쿼터쏜은 최대한 나무 중심방향으로 방향을 맞추어서 자르는 방식입니다.

 

또한 리프트 쏜이라고 있는데 그방식도 사진을 올려보겠습니다.

살짞 쿼터쏜과 플랫손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이렇게 그림 몇가지를 퍼와보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리프트 쏜은 살짝 그림마다 차이가 있는데요 중요한것은 쿼터쏜을 하게 되면 나무를 버리게 되는양이 플랫 쏜보다 많다는겁니다.

가장자리의 작은 부분으로 잘린것들은 쓰지 못하고 버려야 하지요. 주로 중심부분만을 쓰게 될태니요 ^^

또한 쿼터쏜을 하게 되면 나무결이 직선을 지니게 되어 넥이 앞뒤로 휘어야 하는것에 대해서 나무결이 수직이 됩니다.

수평보다는 좀 힘을 강하게 받을수 있겠지요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조건 쿼터쏜이 좋은것은 아닙니다. 심재를 얻기 위해선 플랫쏜을 해야 하니까요 .(하지만 심재가 된 플랫쏜 찾기도 힘들지요) 넥은 막 휘어서는 안되지만 어느정도는 휘어야 하는것이라서..

 

하지만 써보면 쿼터쏜이 더욱 튼튼하게 넥감이 느껴지는것은 사실입니다.

 

아래 사진처럼 쿼터쏜은 넥이 휘는 방향에 대해서 나무결이 위아래로 수직을 가지게 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베이스 앰프의 게인과 볼륨에 대한 썰.

베이스 앰프의 Gain 과 Volume 의 차이에 대하여

베이스 앰프에 보면, 입력 측에 GAIN 이 있고 이것으로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출력 쪽에도 Master volume , 또는 그냥 Volume 이 있고 이것으로도 소리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생각하기에는 볼륨 조절은 원래 하나로만 하면 되는데, 대체 왜 2개가 있을까요? 그리고 뭘 어떻게 조절해야 제대로 하는 걸까? 하는 의문이 들기 시작합니다. 사람이 생각하기에 정말 편한 볼륨 조절 방식은 당연히 볼륨 1개만 있는 경우일 것 입니다. 하지만 대다수의 정상적인 베이스 앰프라면, 입력에 gain 출력에 Volume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되어 있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고 “가장 좋은 소리를 얻기 위함” 입니다.그리고 그 좋은 소리를 얻기 위해서 좀 이해와 공부가 필요할 뿐입니다.

베이스 앰프는 2개의 앰프가 들어있습니다.

프리앰프와 파워앰프입니다. 베이스 기타의 출력은 매우 작기 때문에, 프리앰프를 통해서 일단 살짝 증폭을 합니다. 파워앰프가 증폭할 수 있는 최소 신호가 되도록 말이죠, 그리고 파워앰프는 그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2차 증폭을 합니다. 스피커로 낼 수 있는 큰소리로요. 여기서 의문. 대체 왜 증폭을 1번에 안하고 2번에 걸쳐 하는가? 1번에 걸쳐서 하면 그냥 한번 증폭(GAIN)으로만 볼륨 조절을 하면 되지 않느냐. 그러면 모든 것이 해결되지 않느냐? 생각할 수 있습니다. 2번에 걸쳐 증폭하는 이유는, 전기 효율 때문입니다.

프리앰프

일단 프리앰프는 톤의 퀄리티에 맞춰서 설계가 되어 있습니다.포인트가 톤퀄리티이기 떄문에 전기적 효율은 매우 떨어지게 되어 있습니다. 전기를 많이 투입해서 좋은 소리를 얻는데에 포인트가 맞춰져 있는거죠. 전기를 많이 먹어도 “좋은소리”를 얻는 것에 촛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하지만 프리앰프이기 때문에 파워앰프만큼 전기를 먹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프리앰프가 사용하는 GAIN 노브는 실제 증폭량을 결정하는 전기 투입량을 말합니다. 따라서 프리앰프 회로는 Gain 노브에 따라서 전기 투입량 및 증폭량이 달라지는 회로 입니다. 혹시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나, 아답터 에 대해서 잘 아시는 분들의 경우 300W 파워 라고 했을 때 200와트 정도에서 가장 품질 좋고 효율좋은 전기가 나온다 라는 이야기 들어보신 분 있으신지? 만약 300W 파워인데 전기를 280W 정도 끌어 쓰면 파워가 힘들어하고 효율도 안나오구요.. 프리앰프도 이와 비슷합니다. 프리앰프를 구성한 회로는 회로의 물성 자체가 고정된 수치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기 투입량이 바뀌어서 증폭량이 달라져도 그 회로가 원활히 움직이기 위한 전기 규모는 정해져 있습니다.(회로 자체가 변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회로가 가진 부품의 저항의 주파수 별 총합을 회로의 “임피던스” 라고 합니다. 회로 자체가 가지는 주파수 별 전기에 대한 저항력인 것입니다. 그래서 이 회로의 기본 “임피던스” 를 이겨낼 수 있는 소리 신호의 크기와 전기 동작 규모가 필요해집니다. 그렇지 않으면 주파수 별 저항인 임피던스에 의해서, 변형된 주파수 반응이 생겨날 것입니다. 저음이나 고음이 더 깍인다던지. 쉽게 말해서 왜곡되지 않고, 변형되지 않은 원래의 주파수 반응을 얻어내기 위함입니다. ) 그래서, 회로에 전기가 가장 원활하게 잘 동작해서 좋은 소리를 내는 전기 규모가 정해져 있습니다. 프로오디오에서는 이 전기 규모를 공칭 레벨이나 레퍼런스 레벨, +4dBu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러나 게인이 높아져서 그 프리앰프의 증폭한계(max input level또는 DC bias라고 표현)에 소리가 근접하게 되면 소리가 찌그러기게 되구요, 또한 증폭이 많을수록 왜곡이 점점 많이 첨가 됩니다.

그런데 왜곡을 피하자고 증폭을 아주 살짝만 하려니 노이즈 플로어가 걸립니다. 프리앰프는 기본적으로 노이즈 가 존재하고 그걸 노이즈 플로어라고 하는데, 소리를 왜곡을 피하자고 적게 증폭하면, 상대적으로 노이즈가 크게 들리는 것이죠. 그래서 최적의 신호대 잡음비를 얻기 위해서 충분히 게인을 줘서 좋은 신호를 얻게 됩니다.

다시 말해서 가장 좋은 게인의 지점은, 소리가 노이즈 플로어보다 높으면서도, 프리앰프 증폭 한계에서도 아래쪽에 있어서 왜곡도 잘 안되는 그런 게인의 지점입니다.

그것을 전문용어로는 표준 라인래밸, 스윗 스팟 등으로 이야기 합니다. 그래서 세상에 전부 다른 출력을 내어주는 베이스 기타의 출력을 해당하는 “제일 좋은 전기규모 출력” 으로 만들어주기 위해서 GAIN 노브로 그 규모를 결정해야 합니다.

악기에 따라 출력이 다 천차만별이므로, 악기마다 좋은 톤을 얻는 라인 래밸을 얻어내는 Gain 값은 다 틀리리라 생각됩니다. 만약 이 지점에서 GAIN이 더 들어가면 Overdrive, 들들어가면 NOT YET 이 되는거죠. 게인이 너무 높아 오버드라이브 되면 소리가 왜곡되고, 게인이 낮으면 소리가 뚜렷하지 않고 멍청해집니다.

이게 바로 프리앰프와 GAIN 입니다.

파워앰프

파워앰프는 프리앰프와는 조금 다르게 동작합니다. 일단 파워앰프가 다루는 전기 규모는 프리앰프와는 다르게 매우 큽니다. 또한 프리앰프처럼 전기 규모를 가변하면 왜곡률이 상당히 커집니다. 전기 규모가 크기 때문이죠. 그래서 전기 규모를 가변하지 않습니다. 항상 일정한 증폭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100% 풀파워로 동작을 한다고 이야기를 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것은 아니고, 아마 , 파워앰프가 할 수 있는 최대 증폭은 아니고, 소리가 가장 좋고, 가장 전기 효율이 좋은 부분으로 일정하게 증폭하고 있을겁니다. 예를 들면 아까 말했 듯이 컴퓨터 파워 서플라이가 300W 짜리면 200W 전기를 생산하는게 효율이 좋기 때문에 200W 생산으로만 고정해서 돌아가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면 볼륨조절은 무엇이냐면 그것을 그냥 Atttenuator 해주는 겁니다. 가변 저항 등의 회로를 통해 출력을 그냥 “깎는” 역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프리앰프에서 증폭된 톤을 파워앰프로 들여보내기 전에 일종의 가변저항 등으로 그 소리를 줄여서 보내게 되는 것입니다. Trim 이라는 용어도 사용합니다.

파워앰프는 항상 최대 효율을 내는 최대 증폭으로 FULL 로 동작하고 있고, 그 소리를 그냥 줄이는게 VOLUME 노브가 하는 일이라는 이야기 입니다.

왜냐면 전기 규모가 프리앰프보단 매우 크고, 또 앰프 설계 자체도 프리앰프처럼 고퀄리티 설계보단 전기적인 효율(전기 소모를 아주 적게 하도록) 만들어진 앰프 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프리앰프와 같은 설계로 파워앰프를 만들면 부품도 아주 크게 아주 많이 써야 할 것이고, 전기도 상상초월 할만큼 소모하니까요.. (만약 프리앰프와 같은 컨셉의 설계로 파워앰프를 만들면 300W 소리를 내기 위해서 10000W 전기를 써야 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프리앰프는 1.75V 정도로 증폭시키기 위해서 10-40W 정도의 전기를 사용합니다. 5배에서 20배에 달하죠. 하지만 파워앰프의 경우는 전기 효율이 아주 좋습니다.)

하여간 파워앰프는 GAIN 같은 것을 넣어서 전기를 가변 할 수 없고, 또 그냥 설계 상 가장 좋은 소리를 내는 지점에서 full 증폭을 하고 있는 상태에 입력을 VOLUME 노브를 통해서 줄여서 내보내는 것에 불과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결론이 나옵니다.

베이스 앰프의 볼륨 조절은 다음과 같은 방식을 염두해 두고 하면 됩니다.

1. 프리앰프로 가장 좋은 스윗스팟을 찾아낸다(표준라인래밸) – 즉 톤을 잡는 것에 사용한다.
때로는 음악을 위해 오버드라이브 시킬 수도 들 드라이브시킬 수도 있구… 스윗스팟에 게인이 와야 다른 악기들에 묻히지 않는 또렷한 소리를 얻을 수 있다. 만약 베이스 앰프를 통해서 나오는 소리가 다른 악기에 묻혀 웅웅거린다면 그것은 게인이 덜 올라간 것일 수도…

2. 파워앰프로 그 공간이나 소리 규모에 맞는 볼륨으로 다른 악기들과의 밸런스를 맞춘다. –즉 소리의 크기를 결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