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W 를 통해 모니터링 하지 말아라.

큐베이스나 로직 등의 DAW 를 통한 보컬이나, 어커스틱 악기 녹음시, 지금 연주하거나 노래 하는 것을 헤드폰으로 듣기 위한 모니터링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다음의 두가지가 있다.

  • 네이티브 모니터링(소프트웨어 모니터링)
    네이티브 모니터링은, DAW 를 통해서 소리를 듣는 방법을 말한다. 큐베이스나 로직 등의 DAW 에서 오디오 트랙을 만들고, 그 해당 오디오 트랙의 input monitor 버튼을 눌러서 , DAW 를 통해 소리를 듣는 방법이다.(ASIO direct monitor 나 AI 기능이 켜져 있지 않을때)

    이렇게 하면 소리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들어와서, 컴퓨터의 CPU 를 한번 거친후 DAW 의 믹서를 거친다음에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으로 소리가 나가기 떄문에 이러한 과정을 Native processing 이라고 하고, 네이티브 모니터링, 또는 소프트웨어 모니터링 이라고 한다. DAW 에서 걸어놓은 플러그인을 통한 소리가 들리기 때문에, 이큐나 컴프레서 등의 이팩팅한 소리를 들을 수 있다.
Cubase input monitor button
Punch Recording in Logic Pro X - dummies
  • 다이렉트 모니터링(하드웨어 모니터링)
    다이렉트 모니터링은 ,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들어온 컴퓨터로 들여보내지 않고 바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아웃으로 “직접” 내보내주는것을 말한다. 따라서 DAW 에서 인풋 모니터 버튼과 상관 없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조작해서 소리를 내보내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을 해주기 위한 DSP mixer 가 있는경우 해당 DSP mixer 를 통해서 “직접” 모니터링 하게 된다. (ASIO direct monitor 나 AI 기능이 켜져 있을때는, 이 인풋 모니터 버튼으로 DSP mixer 의 다이렉트 모니터링을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소리는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입력으로 들어와서 컴퓨터를 거치치 않고 바로 아웃으로 바로 나가기 때문에 이러한 과정을 Direct Monitoring 이라고 한다. 보통 오디오인터페이스의 DSP mixer 를 통하거나, 또는 다이렉트 모니터링 Knob, Button 등을 사용한다. 이때는 컴퓨터를 거치지 않으므로 DAW 에서 걸은 플러그인 소리는 빠진채로 모니터링 된다.

그렇다면, 네이티브 모니터링을 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네이티브 모니터링할때 보컬 트랙에 걸어놓은 컴프레서나 이큐 등이 걸린채로 모니터링되므로, 그런 모니터링을 하면 좋겠다고 다들 생각하지만, 네이티브 모니터링에는 큰 단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레이턴시 인데,

오디오 인터페이스 성능이 아주 좋아서 10ms 정도로 레이턴시를 줄였다고 가정해보자.

탬포 120BPM 의 곡에서 1분에 120개의 4분음표가 있음을 의미 한다. 따라서, 1개의 4분음표는 0.5초 의 길이를 가지고 있고, 8분음표의 경우는 0.25초. 16분 음표의 경우는 0.125 초의 길이이다. 여기서 레이턴시 10ms 를 생각해보자. ms 는 1/1000초의 단위로, 10ms 는 0.010초의 길이이다.

즉 16분음표 0.125 초/ 10ms 0.01 초

10ms 는 대략 16분음표의 1/10의 길이이다.

따라서 10ms 의 레이턴시가 있는 네이티브 모니터링시, 16분음표연주의 정확성에서 이미 10%의 오차를 가지고 가는것이다. 또한 8분음표에서는 5%에 해당한다.

이것은 랩과 같이 리듬을 중시하는 보컬 뿐만 아니라 , 일반적인 보컬에도 녹음시에 큰 지장을 초래 할 수 있다. 악기 연주에는 치명적이다.

결국 이러한 레이턴시가 아무리 짧게 해서 10ms 라 할지라도, 결국 실제 녹음시에는 큰 방해요소가 된다.

주변에 흔히 , 기타나 베이스를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연결하고, 기타앰프나 베이스 앰프시뮬레이터를 플러그인으로 걸어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오랫동안 인지하지 못한 채로 계속 한다면, 이것이 몸에 익숙해져서, 당신의 박자 감각은 총체적으로 무너질 수 있다. 프로 보컬이나, 프로 연주자로써의 인생을 포기해야할 수도 있다.

따라서 녹음시 모니터링은 네이티브 모니터링보단 다이렉트 모니터링(하드웨어 모니터링) 을 사용해야한다

오디오 콘솔 페이더의 개발자.

Tom dowd

Bill Putnam의 다른 믹싱 데스크.

페이더가 개발되기 이전의 오디오 믹싱 콘솔들은 위 사진처럼 커다란 노브 형태의 볼륨 조절 장치를 가지고 있었다.

EDN - Physicist and recording engineer Tom Dowd is born, October ...
\

하지만 Tom dowd 라는 한 레코딩 엔지니어는 자신이 피아노를 연주하는것처럼 모든 악기의 밸런스를 컨트롤 하고 싶었고, 그 아이디어를 통해서 Fader 를 개발한다.

Tom Dowd, Humble Music Genius Behind The Scenes – Christian's ...


그의 아이디어는 매우 통했고, 그 이후로 대부분의 오디오 믹싱 콘솔은 피아노 건반과도 같은 Fader 를 사용하여 볼륨을 조절하게 되었다.

그의 레코딩중 Giant step. John coltrane

콘트라베이스 DPA4099 의 유행?

오랜만에 해당 카테고리에 글을 적는다.

최근 재즈신 등에서 DPA4099를 콘트라베이스의 픽업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종종 보이고 있는데, 이것에 대한 장단점을 좀 써볼까한다.

DPA4099는 그 톤자체로 마이크 이기 때문에 매우 사실적인 소리를 내어줄 수 있다.

단 주의할 점이 있는데,

첫번째는, 마이크 이기 때문에, 주변 악기 소리가 그대로 전부 수음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재즈 연주자들이 사용하는 악기들이 클래식 연주자들의 악기와는 달리 대부분 소리가 크지 않은 경향이 있는데, 비용적인 문제이기도 하겠지만. 이런경우 주변에 드럼이라도 있으면 드럼소리가 그대로 DPA4099 로 들어오는소리가 자체의 콘트라베이스의 볼륨보다 커버리면, 이것이 상당한 문제가 되버린다. 악기자체의 볼륨이 큰 악기일경우에만 효과가 좋다고 볼 수 있다. 주변에 스테이지 모니터 스피커가 있어도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두번째는, 48V 팬텀파워를 필요로하고 프리앰프의 성능에따라 매우 큰 차이가 난다는 사실이다. 연주자는 당연히 팬텀파워를 공급해줄 프리앰프를 같이 셋트로 들고 다녀야 한다는거다.

필자는 최근 여러건의 라이브 레코딩에서 이러한 DPA4099 로 벌어지는 최악의 상황을 여러번 경험을 직접했다.

키쓰자렛 트리오의 콘서트에서 게리피콕의 경우 GK 앰프와 리얼리스트 픽업의 조화로 괜찮은 재즈 베이스의 톤을 들려주고 있고, 그 덕에 더욱 깔끔한 트리오의 사운드를 완성할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DPA4099는 그것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에서만 사용하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모니터링 헤드폰 , 레퍼런스 헤드폰

reference headphone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모니터링 헤드폰

보컬 , 악기 녹음시, MR 이나, 헤드폰으로 들리는 다른 악기 소리가 마이크로 새어 들어가지 않도록 차폐가 되도록 제작된 헤드폰(보통 closed 헤드폰)

레퍼런스 헤드폰

음악을 재생할때 최대한 평탄한 주파수로 재생하고, 원래의 소리를 최대한 왜곡 없이 원음으로 들려주도록 제작된 헤드폰(보통 open 헤드폰)

모니터링 헤드폰 경우 차폐율이 중요하고, 작은 헤드폰 출력에도 큰 소리를 내어주는 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헤드폰 임피던스를 작게 만드는편이다. 반면에 레퍼런스 헤드폰의 경우, 최대한 원음 재생을 하는것에 포인트가 맞춰져 있기때문에, 다소 헤드폰의 임피던스가 높을 수 있고, 따라서 고 임피던스 헤드폰 구동을 해줄 수 있는 헤드폰 앰프가 필요할 수 있다.

모니터링 헤드폰의 경우에는 헤드폰에서 들리는 소리가 마이크로 들어가면 안되기 떄문에 Closed 로 만들지만 Closed 의 경우 내부에서 공간이 생성되고, 이에 따라 소리의 특정 주파수 대역에 변화나 왜곡이 생성 되기 때문에, 레퍼런스 헤드폰의 경우에는 Closed 로 제작하지 않고 Open 형 헤드폰으로 주로 만들어진다.

믹싱/마스터링용 헤드폰?

때로, “모니터링” 이라는 말 때문에,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와 혼동되어, 믹싱이나 마스터링을 할때 사용하는 헤드폰을 모니터링 헤드폰이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 이것은 모니터링 헤드폰의 사용 목적과는 사실 크게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음원의 믹싱/ 마스터링을 위해서는 “레퍼런스 헤드폰” 을 사용하는것이 더 유리하다. (원음에 가깝기 때문)

모니터링 헤드폰은 사실 공연장 등에서 사용하는 “스테이지 모니터링 스피커”에서 말하는 “모니터링’ 의 목적에 더욱 가깝다.

Zoom L-20/L-20R 의 Hub mode.

Zoom L-20/ L-20R 용 IPAD 어플이 업데이트 되면서 Hub mode 라는게 새로 생겼습니다.

원래 L-20에서 IPAD 전용 어플을 연결해서 리모트 컨트롤 할 수 있었는데, 이번에 어플이 업데이트 되면서 그렇게 연결된 IPAD 를 허브 디바이스로, 그 IPAD 에 다른 아이패드를 6개까지 연결해서, 각각 연주자들의 모니터 믹스를 리모트 컨트롤 하는 기능입니다.

L-20과 L-20R 에서만 가능한것 같은데요, L-20 과 허브로 쓰일 메인 IPAD 간에는 블루투스로 연결하고 (BTA-1 이라는 전용 블루투스 동글이 필요합니다.) 그렇게 연결된 메인 IPAD 를 허브로 wifi ap 기능을 사용해서 주변의 다른 IPAD 를 연결하게 됩니다.

메인 IPAD 의 블루투스 기능과 WIFI 기능이 모두 켜져있어야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아이패드들은 해당 IPAD 에서 WIFI 를 통해 연결을 하면됩니다.

같은 WIFI 망에 없어도 나머지 연주자용 아이패드는 연결이 된다고 합니다. 만약 추가적으로 WIFI 공유기가 있어서, 같은 WIFI 네트워크 상에 있으면, 메인 IPAD 와 연주자용 IPAD 들이 연결가능한 거리가 더 늘어난다고 합니다.

아래 동영상에 보면, 녹음을 담당하는 엔지니어는 메인 IPAD 를 사용하고 나머지 연주자들은 자신의 앞에 비치된 연주자 IPAD 들을 통해서 자신들의 모니터 믹스를 따로 컨트롤 하고 있습니다.

퍼스널 모니터링 헤드폰 출력의 품질 비교해보자.

여기저기서 뭐 어떤 퍼스널 모니터링 헤드폰 앰프는 품질이 안좋네 뭐네..그런 이야기들이 많이 보이고 해서 팩트를 체크해보려고 합니다.

히어백 신제품의 경우… Octo..

히어백 구형 . Octo 와 비교하면 뭐 그렇게 크게 차이 나는것 같진 않다.

베링거 ha400 , 100옴에서 40mW.흠~

루퍼트 니브 rnhp

프리소너스 hp4

그레이스 디자인 m900

 

Digigrid Q(M) 헤드폰 아웃..레벨이 V 로 표기 되어 있기 때문에 간단한 계산을 통해야하는데요 1mW가 600Ω 일 때, V는 0.775V 가 됩니다. P=V^2/R

따라서 600옴에서 8.8^2 / 600= 0.1290, 129mW

나머지도 계산해보면,

그렇게 나머지도 계산해보면 16옴에서는 330mW, 600옴에서는  129mW

뭐 여튼 rnhp와 비슷한수준

그리고 600옴 8.8V 는 놀랍게도 19dBm(dBv 600옴) . 여러가지 헤드폰 앰프들 스펙을 조사해보면  19dBv 나 19dBm 이 많이 나오는데, 이게 아마도 600옴 헤드폰용 표준인듯. (focusrite AM2 헤드폰 앰프 19dBm )

구형 아비옴도 찾아보니 100옴에서 1W 정도.  수치로 볼때 아주 좋은 헤드폰 앰프임…근데 사실 이것도 출력에 대한 말이 많죠?….

쭈욱 비교해봤는데 히어백에서 발표한 스팩이 뻥이 아니라면, 결코 나쁜 출력 스팩은 아닌듯하다. 근데 왜 음질이 안좋다라던가, 그런이야기가 돌고 있는걸까?

그것은 다른 이유가 있는것으로 생각된다.

드럼의 러그와 후프와 튜닝의 관계…

드럼의 러그와 후프와 튜닝의 관계…

보통 튜닝 러그가 적은 드럼이 있는 반면, 러그가 많은 드럼의 경우 튜닝이 쉽고, 후프도 플랜지드(쇠를 구부려 만든것,) 다이케스팅(주조하여 만든것) 등의 차이들이 있다

이것의 차이를 본인의 경험에서 기술해본다. 이내용을 잘 정리하면 석사학위 정도의 논문은 쓸수있을거라 생각된다…

1. 일단 드럼헤드와 드럼통의 진동체 에서, 드럼의 아래쪽 드럼 쉘통 자체는 소리의 formant 를 담당하는 부분에 해당한다. 실제로 마이크를 대고 통을 두드리는 소리를 녹음해보면 다양한 공진점이 관측된다…해보니..

포먼트는,진동체의 개성을 담당하는부분으로, 쉘을 두드려보면 몇가지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여기에 맞도록 드럼의 하피를 맞춰 튜닝하는걸로 나는 결론지었다. 쉘에서 들리는 음정과 같은 음정으로 튜닝..

드럼의 타격피(상피) 는 이 포먼트의 공진주파수중에 특정 주파수를 공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 포먼트 주파수중에서 낮은 음에 맞춰서 튜닝해놓으면 낮은 튜닝이 되고, 높은 공진 주파수에 맞추면 높은 음의 튜닝이 이루어지게 되어, 이 상피는 다양한 음정으로 튜닝할수있다.

2. 드럼의 상피 튜닝에서, 드럼의 피는 기타의 스트링의 무수한 배열의 진동으로 시뮬레이션해볼수있다. 다시말해서 무수히 많은 얇은 스트링을 가운대 중심을 기준으로 삥 돌려놓은 형태의 시뮬레이션을 하면된다.피의 두께는 스트링의 굵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면된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튜닝러그가 6개라면, 탠션이 강하게 작용하는 부분이 이 3개의 직선이 된다. 러그가 서로 잡아당기고 있는 부분이 탠션이 가장 강한부분이 되고, 나머지 부분은 좀 느슨해지는건 사실이다. 만약 러그가 8개면? 이것은 하나 더 추가되어서 4개, 러그가 10개면? 5개의 탠션 직선이 생긴다고 보면된다. 다시말해서 이것이 시사하는바는, 탠션이 강한 직선이 많을수록, 소리가 더 커질것이라고 예측된다. 러그가 많을수록 더 공진력이 강해지는것이다.

3. 하지만 이 탠션직선 말고 빈공간에도 골고루 넣으려면 러그가 조여지는 힘을 러그에만 집중하지않고, 주변에도 골고루 분산 시켜야하는데 그 역할을 바로 후프가 하게 된다. 당연히도, 얇고 휘어지기 좋은 후프는 그 역할이 떨어지고, 두껍거나, 주조된 후프 일수록 그 역할을 아주 잘해줘서 탠션을 골고루 분산 시켜주고, 탠션이 골고루 분산된다면 바로 위에서 말한 탠션직선이 훨씬 더 ~~많이 생기는 결과가 된다고 볼수있다.

4. 이것은 모두 기계공학에서 배우는 정역학적으로 공식으로 서술가능하긴하다. 다 까먹어서 글치…..

5. 다시말해서 러그가 많고, 후프가 두껍거나 주조 후프 일수록 이부분이 유리해진다. 즉 적절한 탠션의 배분 태두리 로 잘 이루어진다는 뜻이다.

6. 그래서 소리가 좋아진다.

7 사실 쉘은 저가형 드럼이나 고가형 드럼이가 거기서 거기일수있다 .쉘의 포먼트에 대해서는 쉘의 두께와 쉘의 인치와 깊이가 결정하는데 여기서 쓸것은 아닌듯.

https://en.wikipedia.org/wiki/Vibrations_of_a_circular_membrane#/media/File:Drum_vibration_mode12.gif

DAW, plugin 과 Windows10 hidpi 해결방법

모니터 해상도가 높아짐에 따라 큰 모니터에 그냥 일반 해상도로 Window 를 사용하게 되면, 글자와 아이콘등 UI 들이 너무 작아져서 사용하기 힘들게 됩니다.

그래서 배율 설정을 통해서 확대해서 사용하게 되는데요

설정-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위와 같이 텍스트 , 앱 및 기타 항목의 크기 변경을 통해서 확대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기능을 사용하면, 이 기능에 따라가지 못하는 소프트웨어돌의 경우에는 그래픽이 망가질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DAW 와 3rd party vst plugin 들의 경우, 화면에 표시되는 그래픽이 망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는, 그 아래의 고급배율 설정으로 들어가서

사용자 지정 배율 설정을 통해서 확대를 적용하면, 모든 소프트웨어(DAW. VST 포함) 에서 그래픽이 망가지지 않고 잘 표현이 됩니다

스피커가 클수록 무조껀 저음 주파수 재생력이 좋다?

스피커가 클수록 무조껀 저음 주파수 재생력이 좋다? 예를들면 작은 스피커는 100hz ~~ 큰 스피커는 50hz~~ 더 크면 20hz~~? 
 
이것은 무조껀 이렇지 않다.
스피커가 낼수있는 저음 주파수의 한계는, 스피커가 밀어내는(또는 당기는) 공기의 부피(입방체 면적)과 비례 한다. 따라서 스피커 유닛이 커지면 이 부피 자체가 커지므로 저음 주파수 한계가 더 낮게 내려가는것은 사실이긴하다.

하지만, 스피커 유닛을 키우는 방법 외에도 스피커가 앞뒤로 움직이는 변위를 크게 만드는 방법으로도 이 부피를 키울 수 있다.

그러면 계산을 해보자면 기존의 8인치 스피커인데 앞뒤로 1 인치 진동하는 변위를 가진 스피커가 만들어내는 공기의 부피는  3.14 X 4^2 x 1 = 50.24

그리고 2R 인치 스피커 인데 앞뒤로 0.5인치 진동하는 변위를 가진 스피커가 같은 부피의 공기량을 밀어내는 경우 R 은  3.14 X R^2 X 0.5 = 50.24 , 여기서 R=5.65…..

따라서, 8인치 스피커인데 앞뒤로 1인치 움직이는 스피커의 저음 주파수 한계는, 대략 11인치 스피커인데 앞뒤로 그 절반 정도 움직이는 스피커의 저음 주파수 한계와 비슷하다.

따라서, 결국 이렇게 생각해보면 , 작은 인치의 스피커 유닛을 사용한다 해도, 앞뒤로 더 많이 움직이게 만들면 저음 재생력은 큰 스피커보다 비슷하거나 더 낮은 저음을 재생할수도 있다, 앞뒤로 더 많이 움직이게 만들려면 스피커 유닛의 태두리 부분의 소재를 개선하고, 마그네틱 코일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스피커를 구동하는 앰프의 힘이 강하면 된다.

그래서 보통 기타 앰프나 베이스 앰프의 경우 15 , 12인치 등의 스피커로 구동하는 일반 스피커를 사용해서 내는 저음이나, 스튜디오 모니터 스피커의 5인치 8인치 특수 스피커로 구동하는 저음이나, 크게 차이는 없을 수도 있다. 니어필드 모니터 스피커들이 5인치 등의 작은 인치의 스피커 유닛을 사용하는데도 어느정도는 충분한 저역대가 나와주는 이유이기도 하다 오히려 기타앰프에서 쓰이는 12인치 스피커는 프리퀀시 리스펀스가 200hz 에서 시작하는등, 제대로 저음을 재생 못하는경우도 많다.

개다가, 스피커가 앞뒤로 많이 움직여서 충분한 공기의 압력을 만들어내는 경우는 bass reflex hole 이라고 불리는 일종의 저음 공진용 관을 사용하여 더 낮은 저음으로의 확장도 시도 해볼 수 있다. (핼름 홀쯔 공진현상을 이용하는것임)

하여간, 스피커 인치수가 크다고 저음이 무조껀 잘나오는 스피커인것은 아니다.

 

 

Bartolini NTMB bass on board preamp. 에 대해서 에세이.

난 바톨리니 ntmb 베이스 온보드 프리앰프가 참 좋다.

회로를 보면 풀텍 이퀄라이져 스러운 패시브 소자들을 이용한 이퀄라이저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을 3밴드로 구현해놨음..

예를들면 low 가 풍성한 톤을 만들고 싶으면

low 를 들어올리고, 그러면 소리가 멍멍해질정도가 되는데
250 hz 로 셋팅된 중저역을 살짝만 내려주면
그러한 멍멍함을 바로 뺼수있다.

반대로 고역대를 좀 부드럽게 깎고 싶다면

10khz 로 설계된 highg 를 내리고, 그러면 어택감 , 타격감이 사라지는데,
800hz 로 셋팅된 중고역을 올려주면서 사라졌던 어택감을 다시 되찾아보면된다.

그러면 아주 쫀쫀한 톤을 만들수있음…

그리고 그냥 중역을 뺀 톤을 만들고 싶으면
500hz 로 셋팅해서 미들 scooping 까지 된다.

근데 한가지 아쉬운게 있다면…

중역대의 250hz, 500hz, 800hz, 를 다 동시에 쓸수 없고 스위치로 한대역만 골라써야한다는 사실..
그래서 위에 열거한 3가지 태크닉은 동시에 못쓰고 한번에 하나밖에 못한단 사실. ㅠ

어디 ntmb 4band eq 버전 없나?

low, 250hz, 800hz(500hz toggle), high

이런 구성 말입니다!